ExamData
2016년 2회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(2016년 4월 2일 시행)
알 수 없는 사용자
2017. 3. 19. 19:49
반응형
2016년 2회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와 CBT를 게재합니다.
① 풀림
② 침탄법
③ 질화법
④ 고주파 경화법
2. 다음 중 합금공구강의 KS 재료기호는?
① SKH
② SPS
③ STS
④ GC
3. 소결 초경합금 공구강을 구성하는 탄화물이 아닌 것은?
① WC
② TiC
③ TaC
④ TMo
4. 구리에 아연이 5~20% 첨가되어 전연성이 좋고 색깔이 아름다워 장식품에 많이 쓰이는 황동은?
① 포금
② 톰백
③ 문쯔메탈
④ 7:3 황동
5. 구리에 니켈 40~50% 정도를 함유하는 합금으로서 통신기, 전열선 등의 전기저항 재료로 이용되는 것은?
① 인바
② 엘린바
③ 콘스탄탄
④ 모넬메탈
6. 강재의 크기에 따라 표면이 급랭되어 경화하기 쉬우나 중심부에 갈수록 냉각속도가 늦어져 경화량이 적어지는 현상은?
① 경화능
② 잔류응력
③ 질량효과
④ 노치효과
7. Fe-C 상태도에서 온도가 낮은 것부터 일어나는 순서가 옳은 것은?
① 포정점 → A2변태점 → 공석점 → 공정점
② 공석점 → A2변태점 → 공정점 → 포정점
③ 공석점 → 공정점 → A2변태점 → 포정점
④ 공정점 → 공석점 → A2변태점 → 포정점
8. 모듈이 2 이고 잇수가 각각 36, 74 개인 두 기어가 맞물려 있을 때 축간 거리는 약 몇 ㎜인가?
① 100㎜
② 110㎜
③ 120㎜
④ 130㎜
9. 축에 작용하는 비틀림 토크가 2.5kN 이고 축의 허용전단응력이 49MPa 일 때 축 지름은 약 몇 ㎜ 이상이어야 하는가?
① 24
② 36
③ 48
④ 64
10. 외부 이물질이 나사의 접촉면 사이의 틈새나 볼트의 구멍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너트는?
① 홈붙이 너트
② 플랜지 너트
③ 슬리브 너트
④ 캡 너트
11. 나사에서 리드(lead)의 정의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?
① 나사가 1회전 했을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
② 나사가 1회전 했을 때 나사산상의 1점이 이동한 원주거리
③ 암나사가 2회전 했을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
④ 나사가 1회전 했을 때 나사산상의 1점이 이동한 원주각
12. 다음 중 하중의 크기 및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하중으로서 양진하중을 말하는 것은?
① 집중하중
② 분포하중
③ 교번하중
④ 반복하중
13. 리베팅이 끝난 뒤에 리벳머리의 주위 또는 강판의 가장자리를 정으로 때려 그 부분을 밀착시켜 틈을 없애는 작업은?
① 시밍
② 코킹
③ 커플링
④ 해머링
14. 다음 중 축 중심에 직각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베어링을 말하는 것은?
① 레이디얼 베어링(radial bearing)
② 스러스트 베어링(thrust bearing)
③ 원뿔 베어링(cone bearing)
④ 피벗 베어링(pivot bearing)
15. 다음 중 자동하중 브레이크에 속하지 않는 것은?
① 원추 브레이크
② 웜 브레이크
③ 캠 브레이크
④ 원심 브레이크
16. 다음 중 밑면에서 수직한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 단면이 사각형인 것은?
① 원뿔
② 원기둥
③ 정사면체
④ 사각뿔
17. 기계제도에서 사용하는 다음 선 중 가는 실선으로 표시되는 선은?
①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형상을 나타내는 선
② 물체의 특수한 표면처리 부분을 나타내는 선
③ 단면도를 그릴 경우에 그 절단 위치를 나타내는 선
④ 절단된 단면임을 명시하기 위한 해칭선
18. 헐거운 끼워 맞춤에서 구멍의 최소 허용 치수와 축의 최대 허용 치수와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?
① 최대 틈새
② 최소 죔새
③ 최소 틈새
④ 최대 죔새
19. 다음 중 센터구멍의 간략도시 기호로서 옳지 않은 것은?
20. 그림과 같은 입체의 투상도를 제 3각법으로 나타낸다면 정면도로 옳은 것은?
21. 나사의 도시법에서 나사 각 부를 표시하는 선의 종류로 틀린 것은?
① 수나사의 바깥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
② 암나사의 안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
③ 가려서 보이지 않는 나사부는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.
④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
22. 치수기입 시 사용되는 기호와 그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C : 45° 모떼기
② ∅ : 지름
③ SR : 구의 반지름
④ ◇ : 정사각형
23. 표면거칠기와 관련하여 표면 조직의 파라미터 용어와 그 기호가 잘못 연결된 것은?
① Ra : 평가된 프로파일의 산술 평균 높이
② Rq : 평가된 프로파일의 제곱 평균 평방근 높이
③ Rc : 프로파일의 평균 높이
④ Rz : 프로파일의 총 높이
24. 도면에서 ∅50H7/g6로 표기된 끼워 맞춤에 관한 내용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억지 끼워 맞춤이다.
② 구멍의 치수 허용차 등급이 H7 이다.
③ 축의 치수 허용차 등급이 g6 이다.
④ 구멍 기준식 끼워 맞춤이다.
25. KS 기하 공차기호 중 진원도 공차기호는?
26. 다음 중 구성인선의 임계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?
① 구성인선이 발생하기 쉬운 속도를 의미한다.
② 구성인선이 최대로 성장할 수 있는 속도를 의미한다.
③ 고속도강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저탄소강재를 120m/min으로 절삭하는 속도이다.
④ 고속도강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저탄소강재를 10~25m/min으로 절삭하는 속도이다.
27. 선반에서 테이퍼를 절삭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?
① 복식 공구대에 의한 방법
② 분할대 사용에 의한 방법
③ 심압대 편위에 의한 방법
④ 테이퍼 절삭장치에 의한 방법
28. 연삭가공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?
① 가공면의 치수 정밀도가 매우 우수하다.
② 부품 생산의 첫 공정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.
③ 재료가 열처리되어 단단해진 공작물의 가공에 적합하다.
④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는 부품의 가공에 적합하다.
29. 다음 중 연삭숫돌이 결합하고 있는 결합도의 세기가 가장 큰 것은?
① F
② H
③ M
④ U
30. 절삭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열전대에 의한 방법
② 칩의 색깔에 의한 방법
③ 칼로리미터에 의한 방법
④ 초음파 탐지에 의한 방법
31. 오차의 종류에서 계기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측정자의 눈의 위치에 따른 눈금의 읽음 값에 의해 생기는 오차
② 기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 등과 같은 주위 환경에서 오는 오차
③ 측정기의 구조, 측정 압력, 측정 온도, 측정기의 마모 등에 따른 오차
④ 가늘고 긴 모양의 측정기 또는 피측정물을 정반 위에 놓으면 접촉하는 면의 형상 때문에 생기는 오차
32. 직경이 크고 길이가 짧은 공작물을 가공할 때, 사용하는 선반은?
① 보통선반
② 정면선반
③ 탁상선반
④ 터릿선반
33. 인공합성 절삭 공구재료로 고속작업이 가능하며, 난삭재료, 고속도강, 담금질강, 내열강 등의 절삭에 적합한 공구재료는?
① 서멧
② 세라믹
③ 초경합금
④ 입방정 질화붕소
34. 다음 중 각도측정에 적합하지 않은 측정기는?
① 사인바
② 수준기
③ 오토 콜리메이터
④ 삼점식 마이크로미터
35. 수작업으로 암나사 가공을 할 수 있는 공구는?
① 정
② 탭
③ 다이스
④ 스크레이퍼
36. 밀링작업에서 하향절삭과 비교한 상향절삭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?
① 백래시를 제거하여야 한다.
② 절삭날의 마멸이 적고 공구수명이 길다.
③ 가공할 때 충격이 있어 높은 강성이 필요하다.
④ 절삭력이 상향으로 작용하여 고정이 불리하다.
37. 전극과 가공물 사이에 전기를 통전시켜,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용융 증발시켜 가공하는 것은?
① 방전 가공
② 초음파 가공
③ 화학적 가공
④ 숏 피닝 가공
38. 밀링에서 커터의 지름이 100㎜, 한날당 이송이 0.2㎜, 커터의 날수 10개, 회전수가 478rpm일 때, 절삭속도는 약 m/㎜인가?
① 100
② 150
③ 200
④ 250
39. 공작기계의 기본운동에 속하지 않는 것은?
① 이송운동
② 절삭운동
③ 급송회전운동
④ 위치조정운동
40. 주조된 구멍이나 이미 뚫은 구멍을 필요한 크기나 정밀한 치수로 넓히는 가공법은?
① 보링(boring)
② 태핑(tapping)
③ 스폿 페이싱(spot facing)
④ 카운터 보링(counter boring)
41. 드릴, 탭, 호브 등의 날 여유면을 절삭할 수 있는 선반의 부속장치는?
① 이송 장치
② 릴리빙 장치
③ 총형 바이트 장치
④ 테이퍼 절삭 장치
42. 연마제를 가공액과 혼합하여 가공물 표면에 압출공기로 고압과 고속으로 분사해 가공물 표면과 충돌시켜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은?
① 래핑(lapping)
② 버니싱(burnishing)
③ 액체 호닝(liquid honing)
④ 슈퍼 피니싱(super finishing)
43. 다음 중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일상점검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습동유의 양 점검
② 주축의 정도 점검
③ 조작판의 작동점검
④ 비상정지 스위치 적동점검
44. 다음 CNC선반 프로그램에서 가공해야 될 부분의 지름이 80㎜일 때, 주축의 회전수는 약 얼마인가?
G50 S1000 ;
G96 S120 ;
① 209.5rpm
② 477.5rpm
③ 786.8rpm
④ 1000.8rpm
45. 다음 CNC선반 프로그램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?
G50 X150.0 Z200.0 S1300 T0100 ;
① G50 - 좌표계 설정
② X150.0 - X축 좌표값
③ S1300 - 주축 최고회전수
④ T0100 - 공구 보정번호 01번
46. CNC선반에서 주축의 최고 회전수를 지정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옳은 것은?
① G30 S700 ;
② G40 S1500 ;
③ G42 S1500 ;
④ G50 S1500 ;
47. 다음 그림의 A→B→C 이동지령 머시닝센터 프로그램에서 ㉠, ㉡, ㉢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?
① ㉠X10. ㉡X30. ㉢Y20.
② ㉠X20. ㉡X30. ㉢Y30.
③ ㉠X-20. ㉡X30. ㉢Y20.
④ ㉠X-20. ㉡X40. ㉢Y30.
48. CNC선반의 원호 절삭에서 가공방향이 시계방향(CW)일 경우에 올바른 기능은?
① G00
② G01
③ G02
④ G03
49. 다음 중 CNC선반 가공 시 연속형 또는 불연속형 칩이 발생하는 황동이나 주철과 같이 절삭저항이 적은 재료류를 가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초경공구 재질의 종류는?
① P
② M
③ K
④ S
50. 다음 그림에서 절삭조건 “G96 S157”로 가공할 때 A점에서의 회전수는 약 얼마인가? (단, π는 3.14로 한다.)
① 200 rpm
② 250 rpm
③ 1250 rpm
④ 1500 rpm
51.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사용 시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?
① 운전 중에는 전극을 만지지 않는다.
② 가공액이 바깥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안전 커버를 설치한다.
③ 와이어의 지름이 매우 작아서 공구경의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.
④ 가공물의 낙하 방지를 위하여 프로그램 끝 부분에 정지기능(M00)을 사용한다.
52. 머시닝센터에서 공구 길이 보정 시 보정번호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것은?
① A
② C
③ D
④ H
53. 서보 기구의 위치 검출 제어 방식이 아닌 것은?
① 폐쇄 회로(closed loop)방식
② 패리티 체크(parity check)방식
③ 복합 회로 서보(hybrid servo)방식
④ 반폐쇄 회로(semi-closed loop)방식
54. CNC공작기계의 정보처리회로에서 서보모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신호의 형태는?
① 문자신호
② 위상신호
③ 펄스신호
④ 형상신호
55. CNC선반에서 그림과 같이 공작물 원점을 설정할 때 좌표계설정으로 옳은 것은? (단, 지름지령이다.)
① G50 X100. Z100. ;
② G50 X100. Z200. ;
③ G50 X200. Z100. ;
④ G50 X200. Z200. ;
56. 다음 머시닝센터의 고정 사이클 지령에서 P의 의미는?
G90 G99 G82 X_ Y_ Z_ R_ P_ F_ ;
① 매 절입량을 지정
② 탭 가공의 피치를 지정
③ 고정사이클 반복횟수 지정
④ 구멍 바닥에서 드웰시간을 지정
57. 다음 중 반드시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해야 하는 것은?
① 드릴 작업
② 밀링 작업
③ 선반 작업
④ 용접 작업
58. DNC(Direct Numerical Control)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?
① 컴퓨터와 메모리 장치
② 공작물 장·탈착용 로봇
③ 데이터 송수신용 통신선
④ 실제 작업용 CNC 공작기계
59. CNC 프로그램에서 보조 프로그램(sub program)을 호출하는 보조기능은?
① M00
② M09
③ M98
④ M99
60. CNC선반에서 나사절삭 시 이송기능(F)에 사용되는 숫자의 의미는?
① 리드
② 절입각도
③ 감긴 방향
④ 호칭 지름
2016년 2회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시험은 4월 2일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정기검정으로 시행되었습니다.
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기능사 필기시험은 2016년 4회 정기검정까지 시험지의 문제를 OMR 답안카드에 마킹한 후 답안카드는 제시하고, 문제지는 지참하여 퇴실하는 PBT(Paper Based-Testing) 방식으로 진행되었고, 2016년 5회부터 컴퓨터 모니터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모니터에 출력된 답안 입력란에 체크한 후 서버에 전송하여 채점하는 CBT(Computer Based Testing)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.
CBT 방식의 필기시험은 응시자별로 출제문제가 다르며, 문제지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
1. 다음 중 표면을 강화하기 위한 열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?
① 풀림
② 침탄법
③ 질화법
④ 고주파 경화법
2. 다음 중 합금공구강의 KS 재료기호는?
① SKH
② SPS
③ STS
④ GC
3. 소결 초경합금 공구강을 구성하는 탄화물이 아닌 것은?
① WC
② TiC
③ TaC
④ TMo
4. 구리에 아연이 5~20% 첨가되어 전연성이 좋고 색깔이 아름다워 장식품에 많이 쓰이는 황동은?
① 포금
② 톰백
③ 문쯔메탈
④ 7:3 황동
5. 구리에 니켈 40~50% 정도를 함유하는 합금으로서 통신기, 전열선 등의 전기저항 재료로 이용되는 것은?
① 인바
② 엘린바
③ 콘스탄탄
④ 모넬메탈
6. 강재의 크기에 따라 표면이 급랭되어 경화하기 쉬우나 중심부에 갈수록 냉각속도가 늦어져 경화량이 적어지는 현상은?
① 경화능
② 잔류응력
③ 질량효과
④ 노치효과
7. Fe-C 상태도에서 온도가 낮은 것부터 일어나는 순서가 옳은 것은?
① 포정점 → A2변태점 → 공석점 → 공정점
② 공석점 → A2변태점 → 공정점 → 포정점
③ 공석점 → 공정점 → A2변태점 → 포정점
④ 공정점 → 공석점 → A2변태점 → 포정점
8. 모듈이 2 이고 잇수가 각각 36, 74 개인 두 기어가 맞물려 있을 때 축간 거리는 약 몇 ㎜인가?
① 100㎜
② 110㎜
③ 120㎜
④ 130㎜
9. 축에 작용하는 비틀림 토크가 2.5kN 이고 축의 허용전단응력이 49MPa 일 때 축 지름은 약 몇 ㎜ 이상이어야 하는가?
① 24
② 36
③ 48
④ 64
10. 외부 이물질이 나사의 접촉면 사이의 틈새나 볼트의 구멍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너트는?
① 홈붙이 너트
② 플랜지 너트
③ 슬리브 너트
④ 캡 너트
11. 나사에서 리드(lead)의 정의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?
① 나사가 1회전 했을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
② 나사가 1회전 했을 때 나사산상의 1점이 이동한 원주거리
③ 암나사가 2회전 했을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
④ 나사가 1회전 했을 때 나사산상의 1점이 이동한 원주각
12. 다음 중 하중의 크기 및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하중으로서 양진하중을 말하는 것은?
① 집중하중
② 분포하중
③ 교번하중
④ 반복하중
13. 리베팅이 끝난 뒤에 리벳머리의 주위 또는 강판의 가장자리를 정으로 때려 그 부분을 밀착시켜 틈을 없애는 작업은?
① 시밍
② 코킹
③ 커플링
④ 해머링
14. 다음 중 축 중심에 직각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베어링을 말하는 것은?
① 레이디얼 베어링(radial bearing)
② 스러스트 베어링(thrust bearing)
③ 원뿔 베어링(cone bearing)
④ 피벗 베어링(pivot bearing)
15. 다음 중 자동하중 브레이크에 속하지 않는 것은?
① 원추 브레이크
② 웜 브레이크
③ 캠 브레이크
④ 원심 브레이크
16. 다음 중 밑면에서 수직한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 단면이 사각형인 것은?
① 원뿔
② 원기둥
③ 정사면체
④ 사각뿔
17. 기계제도에서 사용하는 다음 선 중 가는 실선으로 표시되는 선은?
①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형상을 나타내는 선
② 물체의 특수한 표면처리 부분을 나타내는 선
③ 단면도를 그릴 경우에 그 절단 위치를 나타내는 선
④ 절단된 단면임을 명시하기 위한 해칭선
18. 헐거운 끼워 맞춤에서 구멍의 최소 허용 치수와 축의 최대 허용 치수와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?
① 최대 틈새
② 최소 죔새
③ 최소 틈새
④ 최대 죔새
19. 다음 중 센터구멍의 간략도시 기호로서 옳지 않은 것은?
20. 그림과 같은 입체의 투상도를 제 3각법으로 나타낸다면 정면도로 옳은 것은?
21. 나사의 도시법에서 나사 각 부를 표시하는 선의 종류로 틀린 것은?
① 수나사의 바깥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
② 암나사의 안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
③ 가려서 보이지 않는 나사부는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.
④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.
22. 치수기입 시 사용되는 기호와 그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C : 45° 모떼기
② ∅ : 지름
③ SR : 구의 반지름
④ ◇ : 정사각형
23. 표면거칠기와 관련하여 표면 조직의 파라미터 용어와 그 기호가 잘못 연결된 것은?
① Ra : 평가된 프로파일의 산술 평균 높이
② Rq : 평가된 프로파일의 제곱 평균 평방근 높이
③ Rc : 프로파일의 평균 높이
④ Rz : 프로파일의 총 높이
24. 도면에서 ∅50H7/g6로 표기된 끼워 맞춤에 관한 내용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억지 끼워 맞춤이다.
② 구멍의 치수 허용차 등급이 H7 이다.
③ 축의 치수 허용차 등급이 g6 이다.
④ 구멍 기준식 끼워 맞춤이다.
25. KS 기하 공차기호 중 진원도 공차기호는?
26. 다음 중 구성인선의 임계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?
① 구성인선이 발생하기 쉬운 속도를 의미한다.
② 구성인선이 최대로 성장할 수 있는 속도를 의미한다.
③ 고속도강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저탄소강재를 120m/min으로 절삭하는 속도이다.
④ 고속도강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저탄소강재를 10~25m/min으로 절삭하는 속도이다.
27. 선반에서 테이퍼를 절삭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?
① 복식 공구대에 의한 방법
② 분할대 사용에 의한 방법
③ 심압대 편위에 의한 방법
④ 테이퍼 절삭장치에 의한 방법
28. 연삭가공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?
① 가공면의 치수 정밀도가 매우 우수하다.
② 부품 생산의 첫 공정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.
③ 재료가 열처리되어 단단해진 공작물의 가공에 적합하다.
④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는 부품의 가공에 적합하다.
29. 다음 중 연삭숫돌이 결합하고 있는 결합도의 세기가 가장 큰 것은?
① F
② H
③ M
④ U
30. 절삭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열전대에 의한 방법
② 칩의 색깔에 의한 방법
③ 칼로리미터에 의한 방법
④ 초음파 탐지에 의한 방법
31. 오차의 종류에서 계기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측정자의 눈의 위치에 따른 눈금의 읽음 값에 의해 생기는 오차
② 기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 등과 같은 주위 환경에서 오는 오차
③ 측정기의 구조, 측정 압력, 측정 온도, 측정기의 마모 등에 따른 오차
④ 가늘고 긴 모양의 측정기 또는 피측정물을 정반 위에 놓으면 접촉하는 면의 형상 때문에 생기는 오차
32. 직경이 크고 길이가 짧은 공작물을 가공할 때, 사용하는 선반은?
① 보통선반
② 정면선반
③ 탁상선반
④ 터릿선반
33. 인공합성 절삭 공구재료로 고속작업이 가능하며, 난삭재료, 고속도강, 담금질강, 내열강 등의 절삭에 적합한 공구재료는?
① 서멧
② 세라믹
③ 초경합금
④ 입방정 질화붕소
34. 다음 중 각도측정에 적합하지 않은 측정기는?
① 사인바
② 수준기
③ 오토 콜리메이터
④ 삼점식 마이크로미터
35. 수작업으로 암나사 가공을 할 수 있는 공구는?
① 정
② 탭
③ 다이스
④ 스크레이퍼
36. 밀링작업에서 하향절삭과 비교한 상향절삭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?
① 백래시를 제거하여야 한다.
② 절삭날의 마멸이 적고 공구수명이 길다.
③ 가공할 때 충격이 있어 높은 강성이 필요하다.
④ 절삭력이 상향으로 작용하여 고정이 불리하다.
37. 전극과 가공물 사이에 전기를 통전시켜,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용융 증발시켜 가공하는 것은?
① 방전 가공
② 초음파 가공
③ 화학적 가공
④ 숏 피닝 가공
38. 밀링에서 커터의 지름이 100㎜, 한날당 이송이 0.2㎜, 커터의 날수 10개, 회전수가 478rpm일 때, 절삭속도는 약 m/㎜인가?
① 100
② 150
③ 200
④ 250
39. 공작기계의 기본운동에 속하지 않는 것은?
① 이송운동
② 절삭운동
③ 급송회전운동
④ 위치조정운동
40. 주조된 구멍이나 이미 뚫은 구멍을 필요한 크기나 정밀한 치수로 넓히는 가공법은?
① 보링(boring)
② 태핑(tapping)
③ 스폿 페이싱(spot facing)
④ 카운터 보링(counter boring)
41. 드릴, 탭, 호브 등의 날 여유면을 절삭할 수 있는 선반의 부속장치는?
① 이송 장치
② 릴리빙 장치
③ 총형 바이트 장치
④ 테이퍼 절삭 장치
42. 연마제를 가공액과 혼합하여 가공물 표면에 압출공기로 고압과 고속으로 분사해 가공물 표면과 충돌시켜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은?
① 래핑(lapping)
② 버니싱(burnishing)
③ 액체 호닝(liquid honing)
④ 슈퍼 피니싱(super finishing)
43. 다음 중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일상점검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습동유의 양 점검
② 주축의 정도 점검
③ 조작판의 작동점검
④ 비상정지 스위치 적동점검
44. 다음 CNC선반 프로그램에서 가공해야 될 부분의 지름이 80㎜일 때, 주축의 회전수는 약 얼마인가?
G50 S1000 ;
G96 S120 ;
① 209.5rpm
② 477.5rpm
③ 786.8rpm
④ 1000.8rpm
45. 다음 CNC선반 프로그램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?
G50 X150.0 Z200.0 S1300 T0100 ;
① G50 - 좌표계 설정
② X150.0 - X축 좌표값
③ S1300 - 주축 최고회전수
④ T0100 - 공구 보정번호 01번
46. CNC선반에서 주축의 최고 회전수를 지정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옳은 것은?
① G30 S700 ;
② G40 S1500 ;
③ G42 S1500 ;
④ G50 S1500 ;
47. 다음 그림의 A→B→C 이동지령 머시닝센터 프로그램에서 ㉠, ㉡, ㉢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?
① ㉠X10. ㉡X30. ㉢Y20.
② ㉠X20. ㉡X30. ㉢Y30.
③ ㉠X-20. ㉡X30. ㉢Y20.
④ ㉠X-20. ㉡X40. ㉢Y30.
48. CNC선반의 원호 절삭에서 가공방향이 시계방향(CW)일 경우에 올바른 기능은?
① G00
② G01
③ G02
④ G03
49. 다음 중 CNC선반 가공 시 연속형 또는 불연속형 칩이 발생하는 황동이나 주철과 같이 절삭저항이 적은 재료류를 가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초경공구 재질의 종류는?
① P
② M
③ K
④ S
50. 다음 그림에서 절삭조건 “G96 S157”로 가공할 때 A점에서의 회전수는 약 얼마인가? (단, π는 3.14로 한다.)
① 200 rpm
② 250 rpm
③ 1250 rpm
④ 1500 rpm
51.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사용 시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?
① 운전 중에는 전극을 만지지 않는다.
② 가공액이 바깥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안전 커버를 설치한다.
③ 와이어의 지름이 매우 작아서 공구경의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.
④ 가공물의 낙하 방지를 위하여 프로그램 끝 부분에 정지기능(M00)을 사용한다.
52. 머시닝센터에서 공구 길이 보정 시 보정번호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것은?
① A
② C
③ D
④ H
53. 서보 기구의 위치 검출 제어 방식이 아닌 것은?
① 폐쇄 회로(closed loop)방식
② 패리티 체크(parity check)방식
③ 복합 회로 서보(hybrid servo)방식
④ 반폐쇄 회로(semi-closed loop)방식
54. CNC공작기계의 정보처리회로에서 서보모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신호의 형태는?
① 문자신호
② 위상신호
③ 펄스신호
④ 형상신호
55. CNC선반에서 그림과 같이 공작물 원점을 설정할 때 좌표계설정으로 옳은 것은? (단, 지름지령이다.)
① G50 X100. Z100. ;
② G50 X100. Z200. ;
③ G50 X200. Z100. ;
④ G50 X200. Z200. ;
56. 다음 머시닝센터의 고정 사이클 지령에서 P의 의미는?
G90 G99 G82 X_ Y_ Z_ R_ P_ F_ ;
① 매 절입량을 지정
② 탭 가공의 피치를 지정
③ 고정사이클 반복횟수 지정
④ 구멍 바닥에서 드웰시간을 지정
57. 다음 중 반드시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해야 하는 것은?
① 드릴 작업
② 밀링 작업
③ 선반 작업
④ 용접 작업
58. DNC(Direct Numerical Control)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?
① 컴퓨터와 메모리 장치
② 공작물 장·탈착용 로봇
③ 데이터 송수신용 통신선
④ 실제 작업용 CNC 공작기계
59. CNC 프로그램에서 보조 프로그램(sub program)을 호출하는 보조기능은?
① M00
② M09
③ M98
④ M99
60. CNC선반에서 나사절삭 시 이송기능(F)에 사용되는 숫자의 의미는?
① 리드
② 절입각도
③ 감긴 방향
④ 호칭 지름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