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2021년부터 워드프로세서 자격검정 수탁 기관인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필기시험을 모든 수험자에게 같은 문제를 출제하는 PBT(Paper-Based Testing) 방식으로 진행한 후 기출문제를 공개하였던 정기검정은 시행하지 않고,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험자별 다른 문제를 출제하는 CBT(Computer-Based Testing) 방식으로 진행하는 상시검정만 시행한 후 사정에 따라 기출문제를 공개하지 않습니다. 이에 따라 본 모의고사는 시험에 응시하신 분들의 의견을 토대로 기존 기출문제를 유추하여 재구성한 것입니다.

도타비 문제은행의 워드프로세서 필기 기출문제 모의고사 상시검정에서는 연도별 자격시험 시행 회차별로 분류한 상시검정와 랜덤 모의고사를 활용할 수 있습니다.

■ 재구성 모의고사 2 상시검정 응시, 문제 파일 내려받기 (↓)

 

2022년 상시2 워드프로세서(1급) 필기 기출문제 CBT

2022년 상시2 워드프로세서(1급)

www.gunsys.com

 

■ 도타비 문제은행 워드프로세서 필기 기출문제 모의고사, 상시검정 (↓)

 

도타비 문제은행 :: 워드프로세서 필기 기출문제 모의고사, CBT

워드프로세서 필기시험 기출문제 모의고사, CBT

www.gunsys.com

 

■ 재구성 모의고사 2 문제 (↓)

2022년 워드프로세서 필기 기출문제 복원 재구성 모의고사 2 문제지 파일 견본

1. 워드프로세서의 용어 중 명령이나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추가적인 요소나 선택 항목을 가리키는 것은?
① 색인(Index)
② 하이퍼텍스트(Hypertext)
③ 디폴트(Default)
④ 옵션(Option)

2. 다음 중 워드프로세서의 특징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손쉽게 다양한 문서 형태를 만들 수 있다.
② 작성된 문서의 보존 및 검색이 유리하다.
③ 정보통신망을 이용하여 공유할 수 없기 때문에 보안성이 우수하다.
④ 문서의 통일성과 체계를 갖출 수 있다.

3. 다음 중 워드프로세서 관련 용어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워드랩(Word Wrap) : 단어 사이의 간격을 조절하여 공백을 없애고 문장의 양쪽 끝을 맞추는 것을 말한다.
② 홈 베이스(Home Base) : 문서 어디에서나 특별히 지정된 위치로 바로 이동하는 기능이다.
③ 래그드(Ragged) : 문단의 각 행 중에서 오른쪽 끝이 정렬되지 않은 상태이다.
④ 마진(Margin) : 문서의 균형을 위해 비워두는 페이지의 상·하· 좌·우 공백이다.

4. 다음 중 문서 작성 시 유의 사항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제목은 제목만 보고도 쉽게 문서의 성격과 내용을 알 수 있도록 작성한다.
② 사무관리규정에 의해 공문서는 한글 맞춤법에 따라 세로로 작성한다.
③ 목적이 있는 사외문서라 하더라도 인사말부터 시작하는 것이 기본적인 예의이다.
④ 기안문 작성 시 하나의 항목만 있을 경우 항목 구분을 할 필요가 없으므로 번호를 기재하지 않는다.

5. 다음 중 워드프로세서에서 찾기와 바꾸기 기능에 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블록을 지정한 영역에서도 찾기가 가능하며 커서의 위치를 기준으로 찾을 방향을 지정할 수 있다.
② 사용자가 정의해 놓은 스타일을 적용하여 찾기나 바꾸기로 할 수 있다.
③ 찾기 기능을 수행하면 문서 크기에 영향을 준다.
④ 문서 내에서 특정 문자를 찾기를 하여 크기, 서체, 속성 등을 바꿀 수 있다.

6. 다음 중 머리말과 꼬리말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한 페이지의 맨 위와 아래에 내용이 쪽마다 고정적으로 반복되는 것을 말한다.
② 머리말과 꼬리말에는 책의 제목, 그 장의 제목, 쪽 번호 등을 넣는다.
③ 머리말과 꼬리말의 내용을 짝수 쪽, 홀수 쪽에 다르게 입력할 수 있다.
④ 머리말에 숫자, 문자, 그림은 입력할 수 있으나 표는 입력할 수 없다.

7. 다음 중 맞춤법 검사(Spelling Check)에 대한 설명으로 올바른 것은?
① 수식과 화학식도 맞춤법 검사를 할 수 있다.
② 자주 틀리는 단어는 자동으로 수정되도록 지정할 수 있다.
③ 문서의 특정 부분만 검사할 수는 없다.
④ 맞춤법 외에 문법적인 오류는 고칠 수 없다.

8. 다음 중 워드프로세서의 문서 저장 기능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은 것은?
① 현재 작업 중인 보조기억장치의 내용을 주기억장치로 이동시키는 기능이다.
② [다른 이름으로 저장하기] 대화상자에서 폴더를 새로 만들 수는 있지만 파일을 삭제할 수 없다.
③ 저장 시 암호를 지정하거나 백업 파일이 만들어지도록 설정할 수 있다.
④ 문서의 일부분만을 블록으로 지정한 후에 따로 저장할 수 없다.

9. 다음 중 워드프로세서의 인쇄 기능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미리 보기 기능을 이용하여 문서의 전체 윤곽을 확인할 수 있다.
② 문서의 일부분만 인쇄할 수 있고, 문서의 내용을 파일로 인쇄할 수 있다.
③ 인쇄 매수를 지정하여 동일한 문서를 여러 번 인쇄할 수 있다.
④ 인쇄할 때 프린터의 해상도를 높게 설정하면 선명하게 인쇄되고 출력 속도도 빨라진다.

10. 다음 중 인쇄용지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낱장 용지는 동일한 숫자일 경우 A판보다 B판이 크다.
② 공문서의 표준 규격은 A4(210㎜×297㎜)이다.
③ A판과 B판으로 나눈 용지의 가로:세로의 비는 1:3이다.
④ 낱장 용지는 규격 번호가 클수록 면적이 작다.

11. 다음 중 KS X 1001 완성형 한글 코드의 문자 입력 방법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영문자의 대/소문자의 입력은 [CapsLock]이나 [Shift]를 눌러 입력한다.
② 한글 입력은 2벌식이나 3벌식 자판을 이용하여 입력한다.
③ 특수문자는 모두 2바이트로 구성된다.
④ 한자의 음(音)을 알고 있을 때에는 음절 단위 변환, 단어 단위 변환 등으로 입력한다.

12. 다음 중 색인이 필요 없는 파일링 방법은?
① 명칭별 파일링
② 주제별 파일링
③ 지역별 파일링
④ 번호별 파일링

13. 다음 중 문서의 폐기에 관한 설명으로 가장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보존기간이 경과한 문서는 즉시 폐기 처분한다.
② 비밀문서는 반드시 문서 세단기를 이용하거나 폐기 전문업체를 이용한다.
③ 문서를 폐기할 때는 보존문서 기록대장에 폐기 사실을 기입하고 폐기인을 날인한다.
④ 폐기할 문서가 다시 필요할 지에 대한 검토를 할 필요는 없다.

14. 다음 중 전자문서의 관리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전자문서의 결재권자는 전자문서를 열람한 후 전자문서의 서명란에 서명한다.
② 행정 기관의 전자이미지관인은 문서과의 기안자가 찍어야 한다.
③ 전자결재 시스템을 사용하면 표준 서식으로 정해진 문서만 사용할 수 있다.
④ 전자문서의 효력은 수신자의 컴퓨터에 파일로 등록된 때부터 발생한다.

15. 다음 보기의 기능을 가지고 있는 전자책의 보호 기술은 어느 것인가?

- 인터넷 위의 모든 지적 재산물을 관리함
- 지적재산권리보유자와 이용자를 연결함
- 디지털 정보의 전자상거래 절차에서 필수 요소 및 자동 저작권 관리의 실현이 가능함

① DOI(Digital Object Identifier)
② DRM(Digital Rights Management)
③ DW(Digital Watermarking)
④ PKI(Public Key Infrastructure)

16. 다음 중 문서의 파일링 절차에 대한 순서를 가장 적절하게 나열한 것은?

㉠ 문서 이관
㉡ 문서 구분
㉢ 문서 보존
㉣ 문서 보관
㉤ 문서 분류
㉥ 문서 폐기

① ㉠→㉡→㉤→㉢→㉥→㉣
② ㉤→㉡→㉠→㉢→㉥→㉣
③ ㉡→㉤→㉣→㉠→㉢→㉥
④ ㉣→㉠→㉡→㉤→㉢→㉥

17. 다음 중 전자출판(Electronic Publishing)에 관한 용어의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디더링(Dithering) : 제한된 색상을 조합 또는 비율을 변화하여 새로운 색을 만드는 작업
② 리딩(Leading) : 자간의 미세 조정으로 특정 문자들의 간격을 조정하는 작업
③ 스프레드(Spread) : 대상체의 컬러가 배경색의 컬러보다 옅어서 대상체가 보이지 않는 현상
④ 리터칭(Retouching) : 기존의 이미지를 다른 형태로 새롭게 변형하는 작업

18. 다음 중 공문서의 성립 및 효력 발생에 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공문서의 효력 발생 시기는 다른 법령에 특별한 규정이 없는 한 수신자에게 도달되는 시점이다.
② 공고문서는 고시, 공고가 있은 후 7일이 경과한 날부터 효력이 발생한다.
③ 문서는 결재권자가 해당 문서에 서명의 방식으로 결재함으로써 성립한다.
④ 전자문서의 효력 발생 시점은 수신자의 컴퓨터에 도달하는 시점을 원칙으로 한다.

19. 다음과 같이 문장이 수정되었을 때 사용된 교정부호를 모두 올바르게 짝지은 것은?

20. 다음 중 교정 부호의 올바른 사용법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교정 부호가 부득이 겹칠 경우에는 겹치는 각도를 최대한 작게 한다.
② 교정 부호나 글자는 명확하고, 간략하게 표기한다.
③ 표기하는 색은 원고의 색과 다르게 눈에 잘 띄도록 한다.
④ 의미가 명확히 전달되도록 가지런히 표기한다.

21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의 ‘시작 설정’에서 지원하는 부팅 모드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은 것은?
① 안전 모드 사용 : 기본 드라이버 및 DVD 드라이브, 네트워크 서비스만으로 부팅한다.
② 부팅 로깅 사용 : 화면 모드를 저해상도 디스플레이 모드로 설정하여 부팅한다.
③ 디버깅 사용 : 잘못된 서명이 포함된 드라이버를 설치할 수 있도록 설정한다.
④ 맬웨어 방지 보호 조기 실행 사용 안 함 : 맬웨어 차단 시스템을 사용하지 않도록 설정한다.

22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의 파일과 폴더의 특징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파일의 효율적인 관리를 위해 서로 관련 있는 파일들을 한 폴더에 저장한다.
② CON, PRN, AUX, NUL은 시스템에 예약된 단어이므로, 파일 이름과 확장자명으로 사용할 수 없다.
③ 하나의 폴더 내에는 동일한 이름의 파일이나 폴더가 존재할 수 없다.
④ 파일과 폴더의 이름은 255자 이내로 작성하며, 공백을 포함할 수 있다.

23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의 바탕 화면에 새 폴더를 만드는 방법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파일 탐색기의 탐색 창에서 바탕 화면을 선택한 후 파일 탐색기 리본 메뉴의 [홈] 탭에서 [새 폴더]를 선택한다.
② 바탕 화면에서 새 폴더를 만들기 위한 바로 가기 키인 [Ctrl]+[N]을 누른다.
③ 바탕 화면의 바로 가기 메뉴에서 [새로 만들기]→[폴더]를 선택한다.
④ 바탕 화면에서 [Shift]+[F10]을 누른 후 메뉴에서 [새로 만들기]→[폴더]를 선택한다.

24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에서 하드웨어 추가 또는 제거에 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설치된 하드웨어는 [설정]→[장치]에서 확인할 수 있다.
② 플러그 앤 플레이를 지원하는 장치를 설치하고 Windows 10을 재시작하면 자동으로 인식하여 설치된다.
③ 플러그 앤 플레이를 지원하지 않는 장치를 설치할 때는 [장치 관리자] 창에서 [동작]→[레거시 하드웨어 추가] 메뉴를 선택하여 나타나는 [하드웨어 추가] 마법사를 사용한다.
④ 설치된 하드웨어의 제거는 [설정]→[앱]에서 해당 하드웨어의 드라이버를 제거하면 된다.

25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의 [제어판]→[하드웨어 및 소리]→[장치 및 프린터]에 표시되지 않는 항목은?
① 사용자 컴퓨터
② 하드디스크 드라이브와 사운드 카드
③ 컴퓨터의 USB 포트에 연결하는 모든 장치
④ 컴퓨터에 연결된 호환 네트워크 장치

26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에 설치된 앱을 정상적으로 제거하는 방법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[시작]에서 해당 앱의 바로 가기 메뉴에서 [제거]를 선택하면 나타나는 ‘프로그램 및 기능’ 창에서 제거한다.
② [설정]→[앱]→[앱 및 기능]에서 해당 앱을 선택한 후 [제거]를 클릭한다.
③ [작업 관리자]→[시작 프로그램]에서 해당 앱을 선택한 후 [제거]를 클릭한다.
④ [WinKey]+[x]를 누른 후 [앱 및 기능]을 열어 앱을 제거한다.

27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의 [설정]→[업데이트 및 보안]에서 할 수 있는 기능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[Windows 업데이트]에서는 Windows의 업데이트 일정을 조정하거나 즉시 업데이트를 실행할 수 있다.
② [Windows 보안]에서는 백신 앱이나 방화벽 등을 설정할 수 있다.
③ [백업]에서는 파일을 외부 저장 장치에 안전하게 저장할 수 있다.
④ [복구]에서는 외부 저장 장치에 저장된 파일을 가져와 손상된 파일을 복원할 수 있다.

28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에서 바로 가기 아이콘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하나의 원본 파일에 대해 바로 가기 아이콘은 여러 개 만들 수 있으며 여러 폴더에 저장할 수 있다.
② 특정 폴더의 바로 가기 아이콘을 바탕 화면에 만들면 해당 폴더의 위치가 바탕 화면으로 옮겨진다.
③ 파일의 바로 가기 아이콘을 삭제해도 원본 파일은 삭제되지 않는다.
④ 네트워크상의 다른 컴퓨터에 있는 디스크 드라이브, 프린터에 대해서도 바로 가기 아이콘을 만들 수 있다.

29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에서 [시스템 구성] 창을 화면에 표시하려고 한다. 작업 표시줄의 검색 상자에서 입력해야 할 명령어로 옳은 것은?
① ipconfig
② msconfig
③ appconfig
④ editconfig

30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에서 설치된 앱에 문제가 발생한 경우 이를 해결하기 위한 방법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[앱]→[앱 및 기능]에서 앱을 선택한 후 [수정]을 클릭하여 복구 작업을 수행한다.
② 앱을 완전히 제거한 후 다시 설치한다.
③ [시작] 메뉴를 클릭한 후 앱의 바로 가기 메뉴에서 [초기화]를 클릭한다.
④ [WinKey]+[X]를 누른 후 [앱 및 기능]을 열어 앱을 선택한 후 복구 작업을 수행한다.

31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의 [설정]→[접근성]에서 할 수 있는 기능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Windows 로그온 시 자동으로 돋보기 기능을 시작할 수 있게 설정할 수 있다.
② 필터키를 이용하여 내레이터 기능을 설정할 수 있다.
③ 화상 키보드 기능을 사용하면 키보드 없이도 글자를 입력할 수 있다.
④ 마우스 포인터의 색과 크기를 변경할 수 있다.

32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의 파일 탐색기의 [보기]→[레이아웃]에서 선택할 수 있는 보기 옵션이 아닌 것은?
① 아주 큰 아이콘
② 넓은 아이콘
③ 작은 아이콘
④ 목록

33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에 있는 계산기 앱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은 것은?
① [표준] 계산기에서는 sin, tan, exp, log 등을 활용한 연산을 수행할 수 있다.
② [날짜 계산] 계산기에서는 일정을 관리하거나 알람을 설정할 수 있다.
③ [공학용] 계산기에서는 환율, 부피, 길이, 질량 등을 쉽게 변환할 수 있다.
④ [프로그래머] 계산기를 이용하면 2진법, 8진법, 10진법, 16진법을 쉽게 구할 수 있다.

34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의 ‘전원 및 절전’에 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컴퓨터를 사용하지 않을 때 컴퓨터 화면이 꺼지는 시간을 지정한다.
② 컴퓨터를 사용하지 않을 때 절전모드로 전환되는 시간을 지정한다.
③ 기본 전원 관리 옵션에서 ‘균형 조정(권장)’을 설정하면 컴퓨터 성능을 최대로 낮추어 에너지를 절약한다.
④ [설정] 창의 ‘시스템’ 항목에서 ‘전원 및 절전’에서 설정한다.

35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에서 파일이나 폴더의 복사와 이동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복사([Ctrl]+[C])나 잘라내기([Ctrl]+[X])를 사용하면 정보가 클립보드에 기억된다.
② 같은 드라이브에서 파일이나 폴더를 드래그 앤 드롭하면 복사가 된다.
③ 복사([Ctrl]+[C])나 잘라내기([Ctrl]+[X])를 선택한 후에는 붙여넣기를 실행해야 한다.
④ 복사는 원본이 그대로 있고, 이동은 원본이 새로운 장소로 옮겨진다.

36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에서 휴지통에 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휴지통의 파일은 필요할 때 복원하여 사용할 수 있으며 휴지통에서 파일을 실행할 수도 있다.
② 휴지통에 삭제한 파일이 들어가면 휴지통의 모양이 변경된다.
③ 휴지통이 가득 차면 가장 최근에 삭제된 파일이나 폴더가 들어갈 수 있는 공간을 확보하기 위해 휴지통을 자동으로 정리한다.
④ 휴지통의 크기는 드라이브마다 다르게 설정할 수 있다.

37. 다음 중 서로 다른 프로토콜을 사용하는 망을 연결하는 데 사용되는 것은 무엇인가?
① 리피터(Repeater)
② 게이트웨이(Gateway)
③ 서버(Server)
④ 클라이언트(Client)

38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의 [이더넷 속성]에서 설정할 수 있는 네트워크 구성 요소가 아닌 것은?
① QoS 패킷 스케줄러
② Microsoft Networks 용 클라이언트
③ Microsoft Windows Defender
④ 인터넷 프로토콜 버전 6(TCP/IPv6)

39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의 [설정]→[네트워크 및 인터넷] 창에서 할 수 있는 작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현재 연결된 네트워크에 상태를 확인할 수 있다.
② 컴퓨터에서 사용 가능한 네트워크를 표시할 수 있다.
③ Windows가 데이터 사용량을 제한할 수 있도록 제한 유형, 요금제 시작일, 데이터 제한 크기를 설정할 수 있다.
④ 사용자 계정을 변경하거나, 무선 또는 유선 네트워크에 연결할 수 있다.

40. 다음 중 한글 Windows 10에서 [시스템 정보] 창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운영체제의 버전, 시스템의 이름, OS 제조업체, 모델, 종류, RAM 메모리 용량 등을 표시한다.
② 로컬 및 원격 컴퓨터의 구성 정보를 수집하고 표시한다.
③ 내 시스템의 하드웨어 리소스와 소프트웨어 환경 등을 보여 준다.
④ [시작]→[설정]→[접근성 센터]→[시스템 정보]를 선택하면 나타난다.

41. 다음 중 컴퓨터를 이용한 처리 시스템의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시분할 시스템(Time Sharing System) : 컴퓨터의 처리 시간을 짧은 시간 단위로 분할하여 한 대의 컴퓨터를 여러 명이 동시에 사용할 수 있게 하는 방식
② 실시간 처리 시스템(Real Time System) : 자료가 발생하는 즉시 처리하는 방식
③ 멀티프로그래밍(Multi-Programming) : 한 대의 컴퓨터에 2대 이상의 CPU를 설치하여 대량의 데이터를 신속하게 처리하는 방식
④ 분산 처리 시스템(Distribute Processing System) : 지역적으로 분산된 여러 대의 컴퓨터 시스템을 연결하여 업무를 지역적 또는 기능적으로 분산시켜 처리하는 방식

42. 다음 중 컴퓨터 중앙처리장치의 제어장치에 있는 레지스터의 설명으로 옳은 것은?
① 프로그램 카운터(PC)는 다음번에 실행할 명령어의 번지를 기억하는 레지스터이다.
② 명령 레지스터(IR)는 현재 실행 중인 명령어를 해독하는 레지스터이다.
③ 부호기(Encoder)는 연산된 결과의 음수와 양수를 결정하는 회로이다.
④ 메모리 버퍼 레지스터(MBR)는 기억장치에 입출력되는 데이터의 주소 번지를 기억한다.

43. 다음 중 컴퓨터에서 사용하는 캐시 메모리에 관한 설명으로 옳은 것은?
① CPU와 주기억장치의 처리 속도를 향상시키기 위하여 사용한다.
② 보조기억장치를 주기억장치처럼 사용할 수 있는 기능을 제공한다.
③ 주기억장치를 접근할 때 주소 대신 기억된 내용으로 접근하는 기능을 제공한다.
④ EEROM의 일종으로 중요한 정보를 반영구적으로 저장할 수 있다.

44. 다음은 컴퓨터의 명령어 처리 상태 중 무엇에 대한 설명인가?

번지 부분의 주소가 간접 주소일 경우 기억장치의 주소가 지정하는 곳으로, 유효 번지를 읽기 위해 기억장치에 한 번 더 접근한다.

① 인출 상태
② 간접 상태
③ 실행 상태
④ 인터럽트 상태

45. 다음은 무엇에 대한 설명인가?

- 하드웨어·소프트웨어 등의 컴퓨팅 자원을 자신이 필요한 만큼 빌려 쓰고 사용요금을 지불하는 방식의 컴퓨팅 서비스이다.
- 영화, 사진, 음악 등 미디어 파일을 서버에 저장해 두고 스마트폰이나 스마트TV를 통해 다운로드 후 사용한다.

① 유비쿼터스 컴퓨팅(Ubiquitous Computing)
② 클라우드 컴퓨팅(Cloud Computing)
③ 웨어러블 컴퓨팅(Wearable Computing)
④ 그리드 컴퓨팅(Grid Computing)

46. 다음 중 동영상 파일 표준 형식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ASF : 인터넷을 통해 오디오, 비디오 및 생방송 수신 등을 지원하는 스트리밍을 위한 표준 기술 규격이다.
② MPEG : 프레임 간의 연관성을 고려하여 중복 데이터를 제거하여 압축률을 높이는 손실 압축 기법을 사용한다.
③ DVI : MPEG-4 기술을 기반으로 한 영상 코덱으로 긴 영상도 원본 품질에 가까우면서도 작은 크기로 압축시켜 주는 기능을 갖고 있다.
④ AVI : Windows의 표준 동영상 파일 형식으로 별도의 하드웨어 장치 없이 재생할 수 있다.

47. 다음 중 웹 프로그래밍 언어에 대한 설명으로 알맞은 것은?
① 펄(Perl) : 문자 처리가 강력하고 이식성이 좋으며 주로 유닉스계의 운영체계(OS)로 사용되고 있는 프로그램 언어이다.
② SGML : 하이퍼텍스트 생성 언어(HTML) 기능을 확장할 목적으로 월드 와이드 웹 컨소시엄(WWW Consorsium)에서 표준화한 페이지 기술 언어이다.
③ ODA : 대화식 단말기에서 교육 및 연구 목적으로 이용하는 연산을 간략하게 표현할 수 있도록 개발한 프로그래밍 언어이다.
④ APL : 문자나 도형, 화상 등이 섞여 있는 멀티미디어 문서를 이종(異種) 시스템 간에 상호 교환하기 위한 문서 구조와 인터페이스 언어이다.

48. 다음 중 아래에서 설명하는 그래픽 기법은?

컴퓨터 프로그램을 이용하여 3차원 애니메이션을 만드는 과정으로 사물 모형에 명암과 색상을 추가하여 사실감을 더해 주는 작업이다.

① 안티앨리어싱(Anti-Aliasing)
② 렌더링(Rendering)
③ 인터레이싱(Interlacing)
④ 메조틴트(Mezzotint)

49. 다음 중 아래의 보기에서 설명하는 네트워크 관련 용어로 옳은 것은?

- 호스트 이름으로부터의 IP 주소지에 대한 네트워크의 이름을 규정하는 것이다.
- 네트워크와 호스트를 나누는 데 사용된다.
- 32비트의 크기를 갖는다.
- 일반적으로 클래스 C인 경우 ‘255.255.255.0’을 사용한다.

① DNS(Domain Name System)
② 서브넷 마스크(Subnet Mask)
③ NAT(Network Address Translation)
④ 게이트웨이(Gateway)

50. 다음 중 정보 전송 방식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통신 회선 이용 방식에 따라 단방향 통신, 양방향 통신, 전이중 통신으로 구분한다.
② 데이터 전송 방식에 따라 직렬 전송, 병렬 전송으로 구분한다.
③ 데이터 동기화 여부에 따라 비동기식 전송, 동기식 전송으로 구분한다.
④ 연결 방식에 따라 점 대 점 방식, 다지점 방식으로 구분한다.

51. 다음 중 서로 다른 프로토콜을 사용하는 망을 연결하는데 사용되는 것은 무엇인가?
① 리피터(Repeater)
② 게이트웨이(Gateway)
③ 서버(Server)
④ 클라이언트(Client)

52. 다음 중 인터넷 관련 용어의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데몬(Daemon)은 사용자가 직접적으로 제어하지 않고, 백그라운드에서 돌면서 주기적인 서비스 요청 등 여러 작업을 하는 프로그램을 말한다.
② 푸쉬(Push)는 인터넷에서 사용자의 요청에 의하지 않고 서버의 작용에 의해서 서버상에 있는 정보를 클라이언트로 자동 배포(전송)하는 것을 말한다.
③ 미러 사이트(Mirror Site)는 인기 있는 웹 사이트의 경우 사이트의 부하를 분산하기 위해 2개 이상의 파일 서버로 똑같은 내용을 분산시켜 보유하고 있는 사이트를 말한다.
④ 핑거(Finger)란 지정한 IP 주소 통신 장비의 통신망 연결을 확인하기 위한 것으로 통신 규약으로는 인터넷 제어 메시지 프로토콜(ICMP)을 사용한다.

53. 다음 중 아웃룩(Outlook)에서 메일 관리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수신된 메일은 기본적으로 [받은 편지함] 폴더에 저장된다.
② [지운 편지함]에 있는 메일을 삭제하면 [임시 보관함]으로 이동한다.
③ [검색 폴더]는 특정 검색 조건에 일치하는 모든 전자 메일 항목을 보여 주는 가상 폴더이다.
④ [받은 편지함]에 있는 메일을 삭제하면 [지운 편지함]으로 이동한다.

54. 다음에서 설명하는 모바일 운영체제는 무엇인가?

- 구글에서 개발한 리눅스 기반의 개방형 모바일 운영체제
- 개방형 소프트웨어이므로 단말기 제조사나 이동통신사 등이 무료로 사용할 수 있으나 개방된 만큼 보안에 취약함

① Android
② 윈도우폰
③ iOS
④ 클라우드 OS

55. 다음 중 모바일 기기의 기능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근접센서 : 물체가 접근했을 때 위치를 검출하는 센서
② 증강현실 : 위성에서 보내는 신호를 수신해 사용자의 현재 위치를 알아내는 시스템
③ DMB : 영상이나 음성을 디지털로 변환하는 기술을 이용하여 휴대용 IT기기에서 방송하는 서비스
④ NFC : 무선태그 기술로 10cm 이내의 가까운 거리에서 기기 간의 설정 없이 다양한 무선 데이터를 주고받는 통신 기술

56. 다음 중 컴퓨터 바이러스 감염 증상으로 옮지 않은 것은?
① 시스템 파일이 손상되어 부팅이 정상적으로 수행되지 않을 수 있다.
② 감염된 실행 파일은 실행되지 않거나 속도가 빨라질 수 있다.
③ 특정한 날짜가 되면 컴퓨터 화면에 이상한 메시지가 표시될 수 있다.
④ 디스크를 인식 못하거나 감염 파일의 크기가 커질 수 있다.

57. 다음 중 개인정보보호에 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개인정보처리자는 정보 주체의 개인 정보가 분실, 도난, 유출, 위조, 변조 또는 훼손되지 않도록 해야 한다.
② 기업은 개인정보보호를 시작하기 위해서 개인정보보호 전담자와 조직을 만들어야 한다.
③ 개인정보보호에 문제가 생겼을 때는 IT 부서 책임자나 최고 보안 책임자를 제외하고 경영자가 책임을 져야 한다.
④ 개인정보보호는 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 철저히 보장될 수 있도록 하는 일련의 행위이다.

58. 다음 중 스마트 폰의 보안 위협에 대처하는 방법에 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① 와이파이(Wi-Fi)망에서 양자 간 통신 내용을 가로채는 중간자 공격을 방지하기 위해 VPN 서비스를 강화한다.
② 악성코드나 바이러스 감염으로부터 예방하고자 운영체제와 백신 프로그램을 항상 최신 버전으로 업데이트한다.
③ 악성코드 유포를 막기 위해 가급적 멀티미디어 메시지(MMS)를 사용하고 블루투스 기능은 항상 켜 놓는다.
④ 분실한 기기에 저장된 개인 정보를 원격으로 삭제하여 불법 사용을 방지하기 위해 킬 스위치(Kill Switch) 기능을 사용한다.

59. 다음 보기는 무엇에 대한 설명인가?

- ‘인터넷 개인 식별 번호(Internet Personal Identification Number)’의 약자로 주민등록번호 대신 인터넷상에서 신분을 확인하는 데 쓰인다.
- 기존 주민등록번호로 실명을 인증하는 것과 비슷한데 웹사이트마다 일일이 실명과 주민등록번호를 입력하는 불편함을 덜어준다.

① 전자서명
② 아이핀(i-PIN)
③ 공인인증서
④ 회원가입

60. 다음 중 아래의 보기에서 설명하는 통신 기술로 옳은 것은?

- 13.56MHz의 주파수 대역을 사용하는 비접촉식 통신 기술이다.
- 통신 거리가 10㎝ 이내로 짧고 상대적으로 보안이 우수하다.
- 데이터 읽기와 쓰기 기능을 모두 사용할 수 있다.
- 연결 기기 간 설정을 하지 않아도 된다.

① Bluetooth
② WLL(Wireless Local Loop)
③ NFC(Near Field Communication)
④ WIFI(Wireless Fidelity)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