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처리 실기 - 나머지 값 구하기 알고리즘
etc 2015. 11. 7. 21:03반응형
나머지 값 구하기 알고리즘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한 동영상 강의와 자료를 게재합니다. 동영상 강의는 게재한 자료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으며, 해당 자료는 pdf 파일로 작성하여 첨부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나머지 값 구하기 알고리즘은 정보처리기사, 산업기사, 기능사 실기시험 알고리즘의 순서도에서 단독으로 출제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,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.
진법 변환, 약수, 배수 등 실제 출제되는 알고리즘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안으로 출제될 때가 상당히 많으므로 꼭 숙지해 두시기 바랍니다.
[예제] 임의의 자연수를 입력 받아 4로 나눈 나머지 값을 출력하는 순서도를 작성하라.
- 사용되는 변수
A : 입력 데이터 변수M : 4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기억하는 변수
N4 : 4로 나눈 나머지 값을 기억하는 변수
- 처리 조건
소수점 이하를 절삭하기 위해 Int() 함수를 사용한다.∴ Int() 함수 예 : int(100.75) => 결과 100
[예제] 요약 해설
M=Int(A/4) : 나머지 값을 구하고자 하는 자연수 입력
N3 = 0 : A값을 4로 나눈 후 한 몫(나머지 절삭)을 M에 대입
N4=A-(M×4) : A에 (M×4)를 뺀 값은 곧, 4로 나눈 나머지가 됩니다.
나머지 값 구하기 예
A를 15로 가정합니다.M=Int(15/4) => 결과는 3입니다.
이유는 Int() 함수에 의해 소수점 이하가 절삭되기 때문입니다.
N4=M-(N×4) => 결과는 15를 4로 나눈 나머지 값인 3이 됩니다.
이유는 [나누어진 값(피제수)-(4로 나눈 몫× 나눈 값(제수))]에 의해 15-(4×3) = 15이기 때문입니다.
Tip. : 왼쪽 순서도의 구성에서 나머지를 하나의 수식으로 구하기
N4 = M-(Int(A/4)×4) ∴ 나머지 = 피제수-(피제수/제수)× 제수
N4 = M-(Int(A/4)×4) ∴ 나머지 = 피제수-(피제수/제수)× 제수
[연습문제] 아래의 순서도는 위의 예제와 동일한 내용이지만 A의 값이 999가 입력되면 종료하고 999가 아닌 수가 입력되면 반복하여 수행하는 순서도이다. 괄호 안에 적합한 내용을 ‘답항보기’에서 찾아 순서도를 완성하라.
(연습문제 답안) ① 2, ② 1, ③ 5, ④ 6
반응형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 실기 강의 - 직삼각형 그래프 알고리즘 (2차원 배열 적용) (0) | 2015.11.08 |
---|---|
정보처리 실기 -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 반올림 알고리즘 (0) | 2015.11.07 |
정보처리 실기 - 배열에 입력된 자연수 중 배수들의 합계 알고리즘 (0) | 2015.11.07 |
정보처리 실기 알고리즘 - 카운터, 누적(합계), 산술평균 예제 강의 (0) | 2015.11.07 |
정보처리 실기 알고리즘 - 배열(array)의 이해 (0) | 2015.11.06 |